2025 대한민국 전통연희축제, 6월 7일과 8일 양일간 국립국악원에서 열려

80인 상모놀이
80인 상모놀이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배영호)이 주최하고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전통연희축제’(이하 전통연희축제)가 6월 7일과 8일 이틀 동안 국립국악원에서 열립니다.

‘전통연희축제’는 2007년 시작된 이후 매년 약 2만 명의 관람객이 찾는 대규모 야외 축제로, 전통연희의 대중화를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번 해에는 싱그러운 초록이 돋보이는 계절에 국립국악원 연희마당과 잔디마당에서 전통연희의 아름다움과 미래 가능성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축제가 마련됩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다양한 연령층과 국내외 관광객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축제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80명의 소고 연희자들이 세대를 아우르는 연희를 선보이는 ‘연희 희망의 몸짓’ 무대를 시작으로, 농악, 무속음악, 줄타기, 인형극 등 다양한 전통연희 공연이 이어집니다.

‘연희공방 음마갱깽’의 옴니버스 인형극, ‘광명농악보존회’의 광명농악 판굿, 그리고 중견 연희자 ‘주영호·윤여주·방성혁·이의태’의 개인 놀음 무대도 전통연희의 흥과 활력을 느낄 수 있게 합니다.

남창동과 충남전통음악연구소의 줄타기, 용깃발 놀이를 판굿 형태로 재구성한 ‘지음’의 기예 공연이 화려하게 펼쳐지고, 전통연희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창작 공연도 선보입니다. ‘연희앙상블 궁궁’의 ‘시나위 일렉트로니카’, ‘전통연희집단푸너리’의 ‘구룡이 나르샤’ 공연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또한, 사물놀이 대중화의 선구자인 1세대 ‘이광수’와 ‘민족음악원’이 함께하는 ‘거장 노닐다’ 무대와 ‘통영오광대’ 공연도 기대를 모읍니다.

축제기획단의 김주홍 예술감독은 “이번 축제가 전통연희의 가치와 의미를 알리고, 참여하는 예술가와 시민 모두에게 활력을 불어넣기를 희망한다”고 전했습니다.

개막 사회는 판소리를 전공한 코미디언 김희원과 국악방송 ‘바투의 상사디야’ 진행자인 소리꾼 김봉영이 맡으며, 신명나는 공연 외에도 ‘자개키링 만들기’, ‘향낭 만들기’, ‘전통놀이’, ‘버나체험’, ‘포토부스’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진행됩니다.

전통연희축제의 모든 공연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축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