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는 질병, 치료 필요

아무리 밤에 잠을 자도 다음날 기분이 상쾌하지 않거나 잠도 못 이루는 사람이 있을까? 그렇다면 수면장애를 겪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다음날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수면장애는 반드시 치료해야 할 증상 중 하나다.

수면장애환자증가
수면장애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수면장애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환자 수는 2015년 45만6124명에서 2019년 63만7328명으로 약 40% 증가했으며 이 중 의료비 지출 비율이 가장 연령대는 40대 환자로 나타났다. 40대 환자는 전체의 20.2%를 차지했으며 약 139억 원을 의료비로 지출했다.

수면 장애는 다양한 증상을 동반한다. 먼저 불면증이다. 낮 동안 피로와 졸음, 동기 상실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수면 장애다. 불면증의 주된 원인은 스트레스로 스트레스는 나쁜 수면 습관이 형성되면 수면 리듬이 깨지고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다.

불면증은 수면위생, 인지행동치료, 약물치료의 세 가지 방법을 조합해 치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아 잠들지 못할 경우 전문의의 처방을 받아 수면제를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과면증과 기면증도 수면장애다. 두 질환 모두 과도한 수면과 관련이 있다. 7시간 이상 잠을 잤는데도 낮에 너무 졸리면 과면증이 의심될 수 있다. 반면 기면증은 잠을 참을 수 없어 순식간에 잠이 드는 증상이다. 기면증은 약으로 증상을 완화시켜 치료한다. 낮에 갑자스러운 졸음을 줄이기 위해 각성제를 사용하지만 약을 먹어도 졸리다면 20분 정도 낮잠을 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코골이는 매우 흔한 생리적 현상이지만 증상이 심하고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할 경우 치료가 필요하다. 수면무호흡증이 하룻밤에 40회 이상 발생하면 숙면을 취하기 어렵고 산소공급이 어려워 다음날 피로와 두통, 무기력, 기억상실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수면무호흡증은 다수면 검사, 구강 및 비강 평가, 환자 선호도를 고려해 치료 방법을 결정한다.

숙면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좋은 수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 잠을 잘 수 없다면 규칙적으로 취침시간을 지키고, 잠을 깨는 시간을 가지며, 술과 카페인을 멀리하는 것이 좋다.

명칭:크리에이터데일리, 전화번호:010-9469-7981, 등록번호:서울 아 52082, 등록연월일:2018.05.23, 제호:크리에이터데일리, 간별:인터넷신문, 발행인ㆍ편집인:백상일, 발행연월일:2018.05.23, 청소년보호책임자:백상일, 주소:서울 동작구 양녕로22라길 23